이번 주에 배운 것
Spring initializr 을 이용해서 Spring 프로젝트를 시작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해 간단한 CRUD 게시판 만들기
Jdbc template를 이용해서 쿼리문을 이용해 MySQL에 데이터 저장 및 불러오기
Jpa를 이용해 간단한 메서드나 애너테이션으로 엔티티 생성 및 데이터 저장, 불러오기
jwt를 이용한 로그인 기능 구현
이번 주에 느낀 것
이번 주차부터는 스프링에 대한 본격적인 공부가 시작되었는데,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응용해서 API설계부터 프로그램을 짜기까지의 과정을 반복했다.
모든 내용이 처음 배운 내용에서 조금씩 어떤 부분에서 개선되었고 바뀌는 것이 있었다.
예를들어 jdbc template에서는 직접 쿼리문을 사용해서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했다면, Jpa에서는 @Entity 애너테이션을 이용해서 CREATE TABLE 이라는 쿼리문을 쓰지 않고 자바에서 테이블을 만들 수 있었다.
늘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최신 기술의 동향을 살펴야 하지만, 아무 생각 없이 최신기술을 적용하기 보단, 기존의 기술에서 어떤 점에서 개선되었는지, 기존의 기술이 더 나은 점은 없는지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을 해야된다고 생각했다.
이번 주에 아쉬웠던 점
이번주는 과제를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프로젝트에 집중하는 시간이 많았는데,
프로젝트 하다가 HTTP에서 @ReqestBody를 입력 받으면 입력받은 내용을 RequestDto 에 넣어서 함수 인자로 사용하는 함수가 있었는데, ResponseDto를 인자로 넣어서 @RequestBody 애너테이션을 못 쓴다고 떠서 뭐가 잘못되었는 지 한참 보고있느라 시간을 허비한 경험이 있었다.
인텔리제이에서 제공하는 변수 이름 자동 완성 기능과 오류수정 기능을 사용할 때 좀 더 읽어보고 써야겠다.
'항해99 > [항해99]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99] WIL(7) - Spring Project (0) | 2024.01.22 |
---|---|
[항해99] WIL(6) - Spring Project (0) | 2024.01.15 |
[항해99] WIL(4) - 알고리즘 공부 (0) | 2023.12.31 |
[항해99] WIL (3) - 알고리즘 공부 (0) | 2023.12.24 |
[항해99] WIL(2) - 알고리즘 공부 (0) | 2023.12.18 |